분류 전체보기 894

나만을 위한 교육 정보, TEPI에서 찾으세요!

"교육 정보는 넘쳐 나지만, 나에게 딱 맞는 건 찾기 어렵죠? TEPI/미래교육이 매일 여러분에게 맞춤형 정보를 드리고, 학부모님들과 궁금증을 나눌 수 있는 카카오 오픈채팅 방을 열었습니다. 지금 링크로 가입하세요!" https://open.kakao.com/o/gAPmYPph TEPI/미래교육 해외유학TEPI/미래교육은 2003년 설립된 국내 유수의 해외 유학 컨설팅 기관입니다. 미국 보딩/대학/대학원을 비롯해 전 세계 명문 대학입학을 위한 컨설팅과 정보를 제공하는 곳입니다. 더불어 국내 최초open.kakao.com

하비머드 칼리지 웨이팅, 풀릴 확률은 얼마나 될까?

지난해 13%, 2021년에는 0%해마다 추가합격률 달라 예측 힘들어  Harvey Mudd College는 한마디로 독특한 리버럴 아츠 칼리지다. Harvey Mudd College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클레어몬트에 위치한 사립 리버럴 아츠 칼리지로, 과학, 공학, 수학(STEM) 분야에 특화된 교육으로 유명하다. 1955년에 설립된 이 대학은 소규모 학생 수(약 900명)를 유지하며, 학생들에게 개인화된 학습 경험을 제공한다. Harvey Mudd는 클레어몬트 칼리지 컨소시엄의 일원으로, Pomona College, Scripps College 등 다른 4개 대학과 자원을 공유하며 학문적 협력을 도모한다. 이 대학의 교육 철학은 이론과 실습을 결합한 실용적인 접근 방식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모든 학생..

미국 명문대로 구성된 파이브 칼리지 컨소시엄

​파이브 칼리지 컨소시엄(Five College Consortium)에 대해 설명하자면, 이는 미국 매사추세츠주 서부에 위치한 5개의 고등교육 기관이 협력하여 형성한 독특한 학문 공동체입니다.  구성원으로는 애머스트 칼리지(Amherst College), 스미스 칼리지(Smith College), 마운트 홀리요크 칼리지(Mount Holyoke College), 햄프셔 칼리지(Hampshire College), 그리고 매사추세츠 애머스트 대학교(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가 포함됩니다. ​이 컨소시엄은 주로 매사추세츠주 피오니어 밸리(Pioneer Valley) 지역에 자리 잡고 있으며, 이 지역은 학문적, 문화적 활기가 넘치는 곳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이 협력체..

미국 대학의 '퀘이커 컨소시엄'이란?

​퀘이커 컨소시엄(Quaker Consortium)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퀘이커 컨소시엄은 펜실베니아 주에 위치한 세 개의 대학으로 구성된 협력체로, 이들 대학은 모두 퀘이커 교도(Quakers)의 전통을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 컨소시엄에 속한 대학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펜실베니아 대학교 (University of Pennsylvania)스와스모어 칼리지 (Swarthmore College)브린 마워 칼리지 (Bryn Mawr College)​이 협력체의 주요 특징은 학생들이 이 세 대학 간의 수업을 교차 수강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즉, 한 대학에 재학 중이더라도 다른 두 대학의 강의를 들을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됩니다. 또한, 도서관과 기타 시설을 공유할 수 있어 학문적 자원을 보다 폭넓게 활..

보딩스쿨 간 학생에게 매년 가디언 비용 내라는 유학원

"제 아이가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보딩에 갔는데, 도와준 조기 유학 유학원에서 연간 가디언 비용을 8000달러를 내라고 합니다. 그것도 매년 내라고 합니다. 그런데 그 보딩스쿨에서 연락이 오길, 보딩은 가디언이 필요 없다라고 답이 왔습니다. 유학원이 필요 없는 가디언 비용을 매년 받으려고 하니 화가 납니다" TEPI미래교육에 연락을 해 상담을 요청한 한 어머니의 하소연입니다. 일반적으로 미국 보딩스쿨(Boarding School)은 기숙사에서 생활하며 학교가 학생들의 숙식과 일상적인 관리를 책임지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가디언(보호자)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습니다.  보딩스쿨의 특징 중 하나가 학생들이 부모와 떨어져 독립적으로 생활하며 학교의 교사나 기숙사 관리자(예: Dorm Parent)로부터 ..

미국 주요 대학별 맞춤형 인재상에 맞는 특별활동 로드맵

​미래교육, 미국 주요 대학별 인재상에 맞는 EC 로드맵 짜 준다  대학별로 요구하는 맞춤형 인재상에 맞춰 EC(Extracurricular Activities, 비교과 활동)를 준비해야 하는 이유와 그 준비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왜 대학별 맞춤형 인재상에 맞는 EC 준비가 필요한가?​1. 대학의 선발 기준 반영 각 대학은 고유한 교육 철학과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실현할 수 있는 인재상을 설정합니다. 예를 들어, 창의력과 리더십을 중시하는 대학은 학생이 동아리 활동이나 프로젝트에서 주도적 역할을 한 경험을 높이 평가할 수 있습니다. 반면, 사회 공헌을 강조하는 대학은 봉사활동이나 지역사회 참여를 더 중요하게 볼 수 있습니다. EC를 통해 자신이 해당 대학이 원하는 인재상에 부합한다는 점을 ..

학비 걱정 없이 미국 대학과 독일 대학 영어로 가기

미국 대학 학비를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가난한 아빠’의 자녀가 학비 부담 없이 교육을 받을 수 있는 두 가지 방법, 즉 미국 대학에서 Need-based Grant를 받는 방법과 학비가 없는 독일 대학으로 유학을 가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1. 미국 대학에서 Need-based Grant 받기 Need-based Grant는 학생의 재정 상황을 기준으로 제공되는 보조금으로, 상환 의무가 없는 장학금의 일종입니다. 미국의 많은 명문 대학, 특히 아이비리그(예: 하버드, 예일)나 리버럴 아츠 칼리지(예: 암허스트, 윌리엄스)는 "Need-blind" 또는 "Need-aware" 정책을 통해 재정 지원을 제공합니다. Need-blind 정책은 입학 심사 시 재정 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합격 후 필요한 ..

미국 명문대 합격했는데 학비 조달이 어렵다면?

미국 명문대 합격 후 학비 고민, 어떻게 해결할까? 최근 TEPI와 미래교육에는 미국 명문 대학에 합격했으나 학비 조달 문제로 고민하는 상담 요청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습니다. 합격의 기쁨도 잠시, 현실적인 재정 부담에 막막함을 느끼는 학생과 학부모님들의 사연을 들어보면 안타까운 마음이 앞섭니다. 오늘은 두 가지 대표적인 사례를 통해 이런 상황에서 어떤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을지 살펴보겠습니다.​1. 미국 상위권 대학 합격 후 남은 학비 부담이 문제라면? 한 학생이 미국 1그룹 최상위권 사립 대학과 명문 주립 대학 중 2그룹에 포함된 6곳에 모두 합격했습니다. 이 대학들은 누구나 한 번쯤 들어봤을 법한 이름들입니다. 하지만 합격한 대학명을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는 이유는, 이 글을 읽는 당사자가 자신의 이야..

TEPI/미래교육 정보 공유방 개설했습니다.

안녕하세요? 그동안 TEPI/ 미래교육은 CEO이신 이강렬 박사 이름으로 '이강렬 박사의 행복한 유학' 공유방을 개설해 학부모님들께 많은 교육 정보를 제공해 왔습니다. 그런데 오픈 채팅방의 정원 1500명이 차서 더 이상 들어올 수 없게 되었습니다. 많은 분들께서 입장을 원하시나 탈퇴하는 분이 없어 대기 시간이 너무 긴 상황입니다. 그래서 새로 'TEPI/미래교육 해외유학' 공유방을 개설했습니다. TEPI/미래교육은 앞서 개설했던 오픈채팅방에서처럼 매일 유익한 많은 교육 정보를 이 오픈 채팅방을 통해 드릴 것입니다. 관심있는 분들은 아래 링크를 통해 입장해 주시기 바랍니다. ​■ TEPI/미래교육 오픈 채팅방 링크 https://open.kakao.com/o/gAPmYPph TEPI/미래교육 해외유학TE..

트럼프 2기와 대학 재정 위기: 학비 챙겨야 할 때

트럼프 행정부 2기가 시작되면서 미국이 빠르게 변하고 있어요. MAGA(미국을 다시 위대하게)라는 깃발 아래, 경제와 예산이 대대적으로 손질되고 있는데, 이 여파가 대학과 학생들에게까지 미치고 있죠. 연방정부는 돈 낭비를 줄인다며 예산을 깎고, 관세를 올려 수입을 늘리려 하고 있어요. 그 결과, 대학에 가던 지원금이 줄줄이 잘리고 있답니다. 대학 재정, 흔들리는 현실컬럼비아 대학교가 대표적인 예예요. 유럽 전쟁과 반미 시위 때문에 정부가 4억 달러 지원금을 싹 끊어버렸고, 유학생들까지 퇴학시키거나 추방했어요. 이건 한 학교 이야기가 아니에요. 전국 대학들로 이런 조치가 퍼지고 있어요. 재정적으로 약한 대학들은 이미 직격탄을 맞았죠. 존스 홉킨스 대학교는 연방 지원이 끊기면서 2,000명 넘는 직원을 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