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 28

미국 대학 썸머 프로그램, 대학 입시에 도움 될까?

많은 학생들이 미국대학들이 주최하는 서머 캠프에 많이 지원을 하고 또 참여를 한다. 그런데 비용이 만만치 않다. 어떤 학부모들은 이 서머 캠프가 지원하는 대학입시에 결정적 영향을 준다고 생각한다. 정말일까? 오늘은 미국 대학 서머캠프에 대한 비밀을 풀어본다. 질문:미국 상위권 대학을 준비하는 많은 9-11학년 학생들이 미국의 주요 대학이 여름에 여는 서머 프로그램에 참여를 하고 또 하려고 하고 있다. 이 서머 프로그램이 해당 미국 상위권 대학입시 또는 다른 대학의 입시에 큰 영향을 미치나? 비싼 비용을 내고 꼭 참가할만한 가치가 있을까?​답변:미국 상위권 대학(아이비리그, MIT 등)을 준비하는 9-11학년 학생들이 여름 서머 프로그램에 관심이 많다. 이 프로그램이 입시에 미치는 영향과 비용 대비 가치를..

논문, 미국 상위권 대학 지원에 도움이 될까?

질문: 미국 대학을 준비하는 10ㅡ11학년 학생들에게 액티비티에서 경쟁력 있는 논문을 작성하는 것은 대학, 특히 상위권 대학 지원에 얼마나 도움이 될까? https://journalcct.org/ 발상의 전환 청소년 논문 저널대한민국 최초의 청소년 논문저널 ‘발상의 전환(Creative Critical Thinking)은 21세기 창의적 글로벌 리더 양성을 목표로 국내외 고등학교 학생들이 관심 있는 분야의 창의적 주제에 대한 논문, 해설,journalcct.org 답:미국 대학, 특히 상위권 대학(아이비리그, MIT 등)에 지원할 때 경쟁력 있는 논문을 작성하는 것은 10-11학년 학생에게 큰 강점이 될 수 있습니다. 이는 학문적 호기심, 연구 능력, 주도성을 보여주며, 단순한 성적이나 시험 점수를 넘어..

하버드대, 25학년도 입시 통계 비밀에 붙였다.

하버드 대학은 2025학년도 레귤러 합격자를 발표했지만 입학 데이터를 공개하지 않았다. 하버드 대학은 얼리에도 자료를 공개하지 않고 비밀로 했다.  지난해에 하버드에 지원한 학생은 5만 4008명이었다. 그러나 이는 하버드에 대한 기록적인 수치가 아니었다( 최고 기록은 지난 3녀전 2022년에 61,220명의 학생이 지원했을 때 수립되었다). 4년 전까지만 해도 하버드에 대한 지원서는 50,000건의 기준에 도달한 적이 없었다.  하버드가 2025학년도에 대한 데이터를 보류하는 이유 하버드 대학 웹사이트(하버드 자체 표현) 에 따르면 , 하버드가 2025학년도에 대한 데이터를 자신들에게만 보관하기로 한 데에는 이유가 있다. 하버드는 이렇게 말하고 있다. "매년 가을에 단일 연간 입학 데이터 공개로 전환하..

Rice 대학 합격자 발표, 합격률 7.8%

라이스 대학은 3월 26일 2025학년도에 합격자 2,852명을 발표했다. 이는 36,777명의 7.8%에 해당하며, 2022년 이후 가장 높은 합격률이다. 라이스는 이전에 ED I 및 QuestBridge 사이클 에서 491명의 학생을 받았고 , 첫 ED II 사이클 에서는 158명의 학생을 받았고, 각각 13.2%와 6%의 합격률을 기록했다.  작년 2024학년의 이율은 7.5%였다.​Rice welcomes 7.8% of applicants to class of 2029 Rice accepted 2,852 applicants to the class of 2029 March 26, said Yvonne Romero, vice president for enrollment. This represents ..

아이비리그 합격하고도 학비 때문에 포기하는 학생들

TEPI/미래교육에는 최근 아이비리그에 합격하고도 학비 조달이 어려워 포기해야할 상황에 놓은 학생 부모님들이 상담을 요청해왔다. 일부는 유학원 말을 듣고, 또 일부는 학교 카운슬러 말을 듣고 재정보조/financial aid를 신청하지 않고 지원을 한 것이다. 유튜브나 블로그들에 보면 '미국 대학은 국제학생들에게 재정보조를 주면서 need aware 정책을 쓰기 때문에 재정보조를 신청하면 떨어진다'고 잘못된 정보를 주는 곳이 많다. 이 잘못된 정보에 속아서 재정보조를 신청하지 않고 어플라이를 했고, 합격 한 뒤 정신을 차리고 보니, 학비 조달이 불가능한 상황이라는 것을 파악하고 당황하기 시작한다.​뒤늦게 대학에 "지금이라도 재정보조를 신청할 수 있느냐?"라고 묻지만 돌아오는 답은 "불가능하니 론을 신청하..

스탠퍼드 대학 vs. 프린스턴 대학, 어디를 갈까?

Stanford University vs Princeton University  미국 대학의 최강자, 스탠퍼드 대학과 프린스턴 대학에 동시에 합격을 했다면 어느 대학에 등록을 해야 할까? 호랑이와 사자의 싸움처럼 많은 사람에게 흥미를 끕니다,. ​Stanford University와 Princeton University에 동시에 합격하셨다면 정말 대단한 성취입니다! 두 학교 모두 세계 최고 수준의 대학으로, 선택은 쉽지 않겠지만 개인의 목표와 선호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두 대학을 주요 기준으로 비교하며 Parchment 데이터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1. 학문적 명성 및 프로그램Stanford: 실리콘밸리 한가운데 위치하며, 특히 컴퓨터 과학, 공학, 기업가 정신, 혁신 관련 분야에서 ..

UNC vs. 미시간 대학, 어디를 갈까?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vs. University of Michigan​ 두 개의 명문 주립대학, 즉 UNC와 U of Michigan 대학에 동시 합격했다면 어느 대학에 등록을 해야 할까?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UNC)와 University of Michigan - Ann Arbor (UMich)에 동시에 합격하셨다면, 축하드립니다! 두 학교 모두 뛰어난 명성을 가진 명문 대학이지만, 여러 측면에서 차이가 있으니 본인의 우선순위와 목표에 따라 선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두 대학을 몇 가지 주요 기준으로 비교해 보겠습니다. 1. 학문적 명성 및 프로그램UMich: 미시간 대학교는 ..

NYU vs. 미시간 대학, 어디를 갈까?

​ "이강렬 박사님, 저는 이번에 NYU와 미시간 대학에 동시에 합격한 학생입니다. 제가 어디로 가야할까요? 저는 NYU다 더 끌립니다. 그런데 부모님은 미시간 대학에 가라고 하세요" NYU와 University of Michigan에 동시 합격한 상황이라면 축하드려요! 두 학교 다 훌륭하지만, 선택은 단순히 순위나 통계만으로 결정할 문제는 아니에요. Parchment에서 Michigan이 78%로 NYU의 22%보다 높게 나온 건 사실 흥미롭고, 일반적으로 학생들이 Michigan을 더 선호한다는 걸 보여주긴 하지만, 이건 절대적인 "더 나은 대학"의 기준이 되진 않아요. 결정은 결국 학생의 목표, 성향, 그리고 원하는 대학 생활에 달렸어요. 두 학교 비교 포인트​1. 학문적 강점 NYU: 특정 전공,..

미국 대학 STEM 전공을 선택해야 하는 6가지 이유

미국 대학 전공 선택이 중요한 이유대학 졸업 후 미국에서 남을 수 있다.​국제학생으로서 미국 대학에 진학할 때 STEM(과학, 기술, 공학, 수학) 전공을 선택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 실질적이고 전략적인 장점 때문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취업의 용이성 때문이다. 미국 취업시장에서 국제학생들에게 요구하는 전공은 STEM이다. 오늘은 국제 학생이 미국 대학에서 STEM전공을 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정리한다.​1. OPT와 취업 기회 확대 미국에서 F-1 비자로 공부하는 국제학생은 졸업 후 선택적 실습 훈련(Optional Practical Training, OPT)을 통해 최대 12개월 동안 미국에서 일할 수 있다. 하지만 STEM 전공자는 OPT를 24개월 추가 연장할 수 있어 총 36개월 동안 합법적으로 ..

합격 대학 선택을 고민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들

합격한 대학을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주요 요소들은 개인의 우선순위와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음 몇 가지를 생각해보면 도움이 됩니다. 대학 선택 시 고려해야 할 핵심 요소 합격한 여러 대학 중 최종 선택을 할 때는 다음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학문적 적합성전공 강점: 관심 분야에서 각 대학의 학과 평판과 강점커리큘럼 구성: 과목 다양성, 학제간 연구 기회, 특별 프로그램교수진 품질: 교수 대 학생 비율, 교수의 연구 성과와 접근성연구 기회: 학부생 연구 참여 가능성​2. 재정적 요소총 비용: 4년간의 학비, 생활비, 교재비 등 실질적인 총 비용재정 지원 패키지: 받은 장학금, 그랜트, 대출 조건 비교졸업 후 부채: 예상 부채와 상환 계획의 현실성투자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