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 56

다트머스 칼리지, 웨이팅 풀릴까?

각 학년도별로 대기자 명단에 있는 학생 수, 대기자 명단에 가입하기로 선택한 학생 수, 대기자 명단에서 합격한 학생 수, 그리고 대기자 명단 수락률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주요 관찰 사항과 분석입니다. 데이터 개요 기간: 2020학년부터 2029학년까지 (2029학년은 데이터 미제공).항목:1) 대기자 명단에 있는 학생 수 (전체 웨이팅 리스트 인원).2) 대기자 명단에 가입하기로 선택한 학생 수 (웨이팅 리스트에 남기를 선택한 인원).3) 대기자 명단에서 합격한 학생 수 (최종적으로 입학 허가받은 인원).4) 대기자 명단 수락률 (합격한 학생 수 / 가입 선택한 학생 수 × 100). 연도별 분석 1) 대기자 명단 규모:대기자 명단에 있는 학생 수는 연도마다 변동이 큽니다. 가장 많았던 해는 20..

코넬 대학 웨이팅, 얼마나 풀릴까?

코넬 대학교의 웨이팅 리스트(대기자 명단)에 대한 분석을 제공하기 위해 주어진 데이터를 바탕으로 최근 몇 년간의 추세와 패턴을 살펴보겠습니다. 이 분석은 대기자 명단에 오른 학생 수, 그중에서 대기자 명단에 가입하기로 선택한 학생 수, 최종적으로 합격한 학생 수, 그리고 수락률(합격률)을 중심으로 진행됩니다.​1. 대기자 명단 규모의 증가 추세데이터를 보면 코넬 대학교의 대기자 명단에 포함된 학생 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예를 들어, 2020학년에는 4,571명이었던 대기자 수가 2028학년에는 8,103명으로 약 77% 증가했습니다. 특히 2023학년(4,948명)에서 2024학년(6,750명) 사이에 큰 폭의 증가가 있었고, 이후 매년 꾸준히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습니..

UCI vs. UIUC, 기계공학 전공 어디가 좋을까?

UIUC와 UC Irvine에 동시합격한 학생이 어디를 갈 것인가에 대해 물어왔습니다. 이를 정리해 봅니다 기계공학 전공 비교: UC Irvine vs. UIUC​1. UC Irvine (UCI) 프로그램 특징: UCI의 기계공학 프로그램은 캘리포니아 특유의 산업 환경과 연계성이 강합니다. 특히 항공우주, 자동차, 그리고 지속 가능성(renewable energy) 분야에 중점을 둔 연구와 실습 기회를 많이 제공합니다. 캘리포니아라는 지리적 이점 덕분에 테슬라, 스페이스X 같은 혁신적인 기업들과의 인턴십이나 네트워킹 기회가 상대적으로 접근하기 쉬습니다.랭킹 및 평판: UCI의 공대는 미국 내에서 상위권에 속하지만, UIUC에 비하면 기계공학 분야에서 약간 덜 유명합니다. US News 기준으로 공대 순위..

한국인이 잘 모르는 명문 LAC, 오버린 칼리지

오버린 칼리지(Oberlin College)는 미국 오하이오주 오버린에 위치한 명문 리버럴 아츠 칼리지로, 학문적 우수성과 진보적인 가치로 유명합니다. 특히 3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하며, 소규모 대학으로서 뛰어난 학문적 성과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아래는 항목별로 자세히 소개입니다. 1) 개관오버린 칼리지는 1833년에 존 제이 쉬퍼드(John Jay Shipherd)와 필로 P. 스튜어트(Philo P. Stewart)에 의해 설립된 사립 리버럴 아츠 칼리지로,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남녀공학 고등교육 기관입니다. 또한 오버린 음악원(Oberlin Conservatory of Music)은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지속 운영 음악원으로, 대학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약 2,800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

노벨상 수상자 5명을 배출한 명문 LAC, 스와츠모어

​스워스모어 칼리지는 지금까지 노벨상 수상자 5명을 배출하며 리버럴 아츠 칼리지 중 최다를 기록하고 있다. 그 뒤를 이어 애머스트와 오벌린 칼리지가 각각 4명, 3명의 수상자를 배출했다. 이 스와츠모어 대학을 함께 알아 본다. 스와츠모어 대학(Swarthmore College)은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스와츠모어에 위치한 명문 리버럴 아츠 칼리지로, 학문적 우수성과 사회적 책임감을 강조하는 교육 철학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아래에 요청하신 항목별로 자세히 소개하겠습니다. 1) 개관스와츠모어 대학은 1864년에 퀘이커교도(Quakers)에 의해 설립된 사립 4년제 학부 중심 대학입니다. 퀘이커교는 평화주의와 사회적 정의를 중시하는 종교 단체로, 이 가치가 대학의 교육 이념에 깊이 반영되어 있습니다. 현재는 ..

듀크와 유펜 동시 합격했다면, 어디로 갈까?

25학년도 미국 대학 합격자 발표가 거의 끝났습니다. 듀크가 가장 늦게 합격자를 발표했습니다. 오늘은 듀크 대학과 유펜에 동시에 합격을 했다면 어느 대학을 선택하는 것이 좋을까에 대해 생각을 해 봅니다. 어떤 학부모님은 '당연히 아이비리그 대학인 유펜에 등록을 해야 하는 것 아니야?'라고 생각을 할 것입니다. 정말 그럴까요? 두 학교 모두 미국 내에서 매우 뛰어난 명성을 가진 대학으로, 선택은 개인의 우선순위와 목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주요 요소별로 두 대학을 비교 분석해 보겠습니다. 1. 학문적 명성 및 프로그램 강점Duke:의학, 공학, 공공정책, 환경과학 분야에서 특히 강세를 보입니다.특히 Duke 의과대학과 Fuqua 경영대학원은 세계적인 명성을 가지고 있습니다.학부 중심의 교육..

TEPI/미래교육 정보 공유 채널 개설 안내

​안녕하세요? 그동안 TEPI/미래교육은 CEO이신 이강렬 박사 이름으로 '이강렬 박사의 행복한 유학' 공유방을 개설해 학부모님들께 많은 교육 정보를 제공해 왔습니다. 그런데 오픈 채팅방의 정원 1500명이 차서 더이상 들어올 수 없게 되었습니다. 많은 분들께서 입장을 원하시나 탈퇴하는 분이 없어 대기 시간이 너무 긴 상황입니다. 그래서 새로 'TEPI/미래교육 해외유학' 공유방을 개설했습니다. TEPI/미래교육은 앞서 개설했던 오픈채팅방에서처럼 매일 유익한 많은 교육 정보를 이 오픈 채팅방을 통해 드릴 것입니다. 관심있는 분들은 아래 링크를 통해 입장해 주시기 바랍니다. ■ TEPI/미래교육 오픈 채팅방 링크 https://open.kakao.com/o/gAPmYPph TEPI/미래교육 해외유학TEPI..

미국 대학 입시 레귤러에서 웨이팅이 되었다면

"레귤러 디시전에서 Waiting이 되었다"의 의미  미국 대학 입시에서 "레귤러 디시전(Regular Decision)" 과정 중 "Waiting" 또는 "Waitlisted"라는 결과를 받았다는 것은, 지원한 대학이 즉시 합격(Admitted)시키거나 불합격(Rejected)시키지 않고 대기 명단에 올려놓았다는 뜻이다. 이는 다음과 같은 상황을 의미한다: 1. 합격 가능성이 있음: 대학은 학생의 지원서를 긍정적으로 평가했지만, 현재 정원(클래스 사이즈)이 모두 채워진 상태라 바로 합격을 주지 못했다. 다른 합격자가 입학을 포기하면 그 자리를 채우기 위해 대기 명단에서 학생을 선발할 수 있다는 뜻이다.​2. 결정 보류: 대학이 최종 결정을 내리기 위해 더 많은 정보를 기다리거나, 다른 지원자와 비교하며..

미국 대학 썸머 프로그램, 대학 입시에 도움 될까?

많은 학생들이 미국대학들이 주최하는 서머 캠프에 많이 지원을 하고 또 참여를 한다. 그런데 비용이 만만치 않다. 어떤 학부모들은 이 서머 캠프가 지원하는 대학입시에 결정적 영향을 준다고 생각한다. 정말일까? 오늘은 미국 대학 서머캠프에 대한 비밀을 풀어본다. 질문:미국 상위권 대학을 준비하는 많은 9-11학년 학생들이 미국의 주요 대학이 여름에 여는 서머 프로그램에 참여를 하고 또 하려고 하고 있다. 이 서머 프로그램이 해당 미국 상위권 대학입시 또는 다른 대학의 입시에 큰 영향을 미치나? 비싼 비용을 내고 꼭 참가할만한 가치가 있을까?​답변:미국 상위권 대학(아이비리그, MIT 등)을 준비하는 9-11학년 학생들이 여름 서머 프로그램에 관심이 많다. 이 프로그램이 입시에 미치는 영향과 비용 대비 가치를..

논문, 미국 상위권 대학 지원에 도움이 될까?

질문: 미국 대학을 준비하는 10ㅡ11학년 학생들에게 액티비티에서 경쟁력 있는 논문을 작성하는 것은 대학, 특히 상위권 대학 지원에 얼마나 도움이 될까? https://journalcct.org/ 발상의 전환 청소년 논문 저널대한민국 최초의 청소년 논문저널 ‘발상의 전환(Creative Critical Thinking)은 21세기 창의적 글로벌 리더 양성을 목표로 국내외 고등학교 학생들이 관심 있는 분야의 창의적 주제에 대한 논문, 해설,journalcct.org 답:미국 대학, 특히 상위권 대학(아이비리그, MIT 등)에 지원할 때 경쟁력 있는 논문을 작성하는 것은 10-11학년 학생에게 큰 강점이 될 수 있습니다. 이는 학문적 호기심, 연구 능력, 주도성을 보여주며, 단순한 성적이나 시험 점수를 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