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학 유학 & 장학금 619

2025년 포브스 선정, 뉴 아이비 대학 리스트

포브스(Forbes)가 선정한 '뉴 아이비(New Ivies)'는 전통적인 아이비 리그 8개 대학(하버드, 예일, 프린스턴, 브라운, 컬럼비아, 코넬, 다트머스, 유펜)과 아이비 플러스(Ivy Plus)로 불리는 4개 대학(스탠포드, MIT, 듀크, 시카고)을 제외하고, 졸업생의 취업 성과와 고용주의 선호도를 기준으로 새롭게 주목받는 우수 대학들을 지칭합니다.  이 리스트는 포브스가 2024년과 2025년에 걸쳐 발표한 것으로, 특히 2025년 3월 26일 기사("The New Ivies 2025: 20 Great Colleges Employers Love")를 통해 공립과 사립 대학 각각 10곳씩 총 20곳을 선정했습니다.​뉴 아이비 선정 배경 및 기준 포브스는 전통적인 명문 대학 중심의 평가에서 벗어..

아이비리그 8개 모두 떨어진 학생, 입시 불공정일까?

8개 아이비리그에 모두 떨어진 학생의 아버지가 미국 온라인 커뮤니티인 Reddit(레딧)에 '지금의 대학 입시 시스템이 공정하다고 할 수 있는가”라고 비난하는 글을 올렸다.  이 아버지는 자신의 아들이 고등학교 수석 졸업 예정자(Valedictorian)이며, SAT 1580점, IQ 145 이상, 뛰어난 수상 경력과 교내외 활동을 갖춘 학생임에도 불구하고 아이비리그 대학에 모두 불합격 되고 오직 매사추세츠 주립대학교(UMass Amherst) 한 곳만 합격했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 아들은 자신의 한계를 넘기 위해 노력해왔고, 그 결과 누구보다 뛰어난 학생이 되었지만, 결국 결과는 실망스럽기 그지 없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이런 결과를 받아들여야 한다면, 지금의 대학 입시 시스템이 공정하다고 할 수..

아이비리그 중심 미국 대학 입시 경향의 주요 변화

​조기 지원(Early Action/ Early Decision) 증가   ED/ EA의 지원은 지속해서 증가하는 추세이다. 2024-2025 입시 사이클에서는 EA 지원자가 전년 대비 17% 증가했으며, ED 지원자 수도 4% 상승했다.  이는 경쟁이 치열해지는 일반 전형을 피하고자 하는 전략과 입학 확률을 높이기 위한 선택으로 해석된다.  이에 따라 조기 지원의 전략적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 미래교육> ......................................... TEPI/ 미래교육 미국 대학 입시/ 재정보조 장학금 컨설팅 문의:전화: 02-780-0262 / 1577-6683이메일: tepikr@gmail.com웹사이트: https://tepikr.modoo.at카카오톡 채널: http..

퍼듀 대학, 웨이팅 얼마나 풀릴까?

​[TEPI / 미래교육 - 미국 대학 입시 자료]  어떤 분이 문의를 해 오셨습니다. "퍼듀공대의 웨잇리스트는 합격 가능성이 있을까요?" 지난해 자료를 알려드리지요. 퍼듀 대학은 지난해 레귤러에서 1만 4184명에게 웨이팅을 줬고, 5252명이 웨이팅을 수락했습니다. 이중 466명이 합격을 했습니다. 웨이팅 합격률 약 8.9%입니다. 100명 중 9명이 풀렸다는 이야기지요. 참 좁은 문이네요. 그냥 기도하고 기다리세요. 이 자료들은 TEPI/미래교육 카카오 오픈 채팅방에서 공유하고 있는 자료들입니다. 미국대학 입시에 관한 따끈 따끈한 자료를 원하세요? 그럼 여기로 들어오시면 매일 많은 입시 자료를 얻을 수 있습니다. ​■ TEPI/미래교육 카카오 오픈 채팅방 → 여기를 클릭하고 들어오세요. https:..

한국의 탄핵 정국, 미국 대학 에세이 주제로 적절할까?

국내 국제학교를 다니는 A군과 그 학부모가 상담을 요청했습니다. A군은 정치에 대한 관심이 많아서 미국대학 에세이를 쓰는 데 한국의 탄핵 정국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쓰려고 한다며 상담을 요청했습니다.  결론적으로 나는 '적절한 주제가 아니다'라는 이야기를 했습니다. 오늘 이에 대해 좀더 깊에 이야기를 해 보려고 합니다.  탄핵 정국에 대한 이야기가 Common App 에세이에 적절하지 않은 이유: 미국 문화에 대한 이해 부족 가능성: 미국 대학 입학 사정관들은 한국 정치, 특히 탄핵이라는 민감하고 복잡한 사건에 대한 깊은 이해가 없을 가능성이 큽니다. 충분한 배경 설명 없이 이 주제를 다루면 에세이가 혼란스럽거나 피상적으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정치적 민감성: 탄핵은 한국 사회에서도 여전히 민감한 주제이며..

아이비리그는 다재다능한 학생을 원할까?

결론부터 이야기를 하면 다재다능하다고 해서 바로 미국 아이비리그에 합격하는 것은 아니다.​미국 최상위권 대학에 지원하는 학생들의 과외 활동 기록을 보면 눈부실 정도로 다채롭고 화려한 경력이 종종 등장한다. 학교 대표 운동팀(Varsity)에서 활약하고, 여러 클럽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다양한 대회에서 수상 경력을 쌓고 심지어 논문 발표와 인턴 경험까지 갖춘 학생들이 있다. 부모님들은 이러한 활동들이 어느 대학에 지원해도 충분히 어필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쉽다. 과거에는 많은 명문 대학들이 스포츠, 음악, 지역사회 봉사 등에서 뛰어난 학생들을 선발해왔지만, 현재 입시 기준은 달라지고 있다.​미국 대학들은 단순히 다재다능한 경력만으로 학생을 평가하지 않는다. 탁월한 재능과 함께 학생의 인성과, 그 활동이 해..

나만을 위한 교육 정보, TEPI에서 찾으세요!

"교육 정보는 넘쳐 나지만, 나에게 딱 맞는 건 찾기 어렵죠? TEPI/미래교육이 매일 여러분에게 맞춤형 정보를 드리고, 학부모님들과 궁금증을 나눌 수 있는 카카오 오픈채팅 방을 열었습니다. 지금 링크로 가입하세요!" https://open.kakao.com/o/gAPmYPph TEPI/미래교육 해외유학TEPI/미래교육은 2003년 설립된 국내 유수의 해외 유학 컨설팅 기관입니다. 미국 보딩/대학/대학원을 비롯해 전 세계 명문 대학입학을 위한 컨설팅과 정보를 제공하는 곳입니다. 더불어 국내 최초open.kakao.com

하비머드 칼리지 웨이팅, 풀릴 확률은 얼마나 될까?

지난해 13%, 2021년에는 0%해마다 추가합격률 달라 예측 힘들어  Harvey Mudd College는 한마디로 독특한 리버럴 아츠 칼리지다. Harvey Mudd College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클레어몬트에 위치한 사립 리버럴 아츠 칼리지로, 과학, 공학, 수학(STEM) 분야에 특화된 교육으로 유명하다. 1955년에 설립된 이 대학은 소규모 학생 수(약 900명)를 유지하며, 학생들에게 개인화된 학습 경험을 제공한다. Harvey Mudd는 클레어몬트 칼리지 컨소시엄의 일원으로, Pomona College, Scripps College 등 다른 4개 대학과 자원을 공유하며 학문적 협력을 도모한다. 이 대학의 교육 철학은 이론과 실습을 결합한 실용적인 접근 방식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모든 학생..

미국 명문대로 구성된 파이브 칼리지 컨소시엄

​파이브 칼리지 컨소시엄(Five College Consortium)에 대해 설명하자면, 이는 미국 매사추세츠주 서부에 위치한 5개의 고등교육 기관이 협력하여 형성한 독특한 학문 공동체입니다.  구성원으로는 애머스트 칼리지(Amherst College), 스미스 칼리지(Smith College), 마운트 홀리요크 칼리지(Mount Holyoke College), 햄프셔 칼리지(Hampshire College), 그리고 매사추세츠 애머스트 대학교(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가 포함됩니다. ​이 컨소시엄은 주로 매사추세츠주 피오니어 밸리(Pioneer Valley) 지역에 자리 잡고 있으며, 이 지역은 학문적, 문화적 활기가 넘치는 곳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이 협력체..

미국 대학의 '퀘이커 컨소시엄'이란?

​퀘이커 컨소시엄(Quaker Consortium)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퀘이커 컨소시엄은 펜실베니아 주에 위치한 세 개의 대학으로 구성된 협력체로, 이들 대학은 모두 퀘이커 교도(Quakers)의 전통을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 컨소시엄에 속한 대학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펜실베니아 대학교 (University of Pennsylvania)스와스모어 칼리지 (Swarthmore College)브린 마워 칼리지 (Bryn Mawr College)​이 협력체의 주요 특징은 학생들이 이 세 대학 간의 수업을 교차 수강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즉, 한 대학에 재학 중이더라도 다른 두 대학의 강의를 들을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됩니다. 또한, 도서관과 기타 시설을 공유할 수 있어 학문적 자원을 보다 폭넓게 활..